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청년신체건강증진서비스 월 24,000원으로 pt 받는 법

by 집콕콕 2023. 11. 7.
반응형

청년신체건강증진서비스를 알고 계신가요? 청년신체건강증진서비스는 보건복지부에서 운영하고 pt를 3개월 간월 24,000원에 받을 수 있는 제도인데요. 오늘은 청년신체건강증진서비스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청년신체건강증진서비스 월 24,000원으로 pt 받는 방법
청년신체건강증진서비스


1. 청년신체건강증진서비스가 무엇인가요?

청년신체건강증진서비스
청년신체건강증진서비스

 

1-1) 청년신체건강증진서비스란?

청년신체건강증진서비스는 보건복지부에서 운영하는 청년들의 건강복지를 위한 청년정책서비스인데요. 비만이나 저체중으로 건강에 고민이 있지만 사설 헬스장에서 pt를 받기에는 가격이 부담스러운 청년들을 위한 프로그램이에요.

 

3개월 동안 주 2회 주기로 운영되며 운동 관련 전문가가 1대 1 혹은 4대 1로 꼼꼼하게 운동 프로그램을 짜주고 식단 관리를 해주는데요. 이를 통해 저렴한 가격으로 건강한 신체를 만들게끔 도와주어 활기찬 생활을 하게끔 만들어주는 프로그램입니다.

 

서울과 수도권 이외에도 다양한 지역에서도 서비스가 운영되고 있기에 서울과 수도권이 아닌 분들도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1-2) 청년신체건강증진서비스 지원금

청년신체건강증진서비스의 지원금은 3개월간 월 24만 원이 제공되고 있는데요. 이 중 10퍼센트는 본인 부담입니다.

3개월간 월 24,000만 본인이 지급하면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어요.

 

사설 헬스장에서 pt를 받는 비용을 생각하면 정말 저렴한 가격이기 때문에 요건을 갖추신 분들은 꼭 지원해 보시길 바랍니다.

 

2. 청년신체건강증진서비스 신청자격

청년신체건강증진서비스의 신청자격은 아래와 같습니다.

  • 소득기준 없음
  • 나이 만 19세에서 만 34세 청년, 지역마다 만 39세까지 되는 곳도 있음
  • BMI 체질량지수가 23 이상 18.5 미만인 과체중 혹은 저체중 청년

별다른 저격 요건은 없지만 BMI 체질량지수 같은 경우 최근 6개월 이내의 인바디 측정 결과지나 건강검진표를 제출하시면 되는데요. 인바디 측정 같은 경우 주변의 보건소에 가시면 무료로 측정이 가능하니 방문해서 측정해 보시면 될 것 같아요.

 

 

3. 청년신체건강증진서비스 신청방법

청년신체건강증진서비스 신청방법은 주민등록상 거주지 동의 행정복지센터에 직접 방문하여서 하시면 되는데요.  꼭 실거주가 아닌 주민등록상 거주지 동의 행정복지센터에서 신청을 해야 해요.

 

방문 신청 시 신분증과 최근 6개월 이내의 인바디 측정 결과지 혹은 건강검진표를 지참해서 가셔야 합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우리 지역에 서비스가 가능 한 곳과 그 외 궁금한 점을  카카오톡 상담을 통해 물어보시면 될 것 같아요.

 

 

4. 청년신체건강증진서비스 서비스 제공절차

청년신체건강증진서비스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온통청년 홈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하며 프로그램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 1단계 : 등록, 상담, 욕구파악
  • 2단계 : 초의학검사 및 건강체력 측정 및 평가(시작 시 효과성 측정할 수 있는 검사 의무 실시)
  • 3단계 : 개인별 맞춤형 처방 프로그램 실시
  • 4단계 : 개인별 서비스 효과 모니터링
  • 5단계 : 사후관리(종료 시 효과성을 측정할 수 있는 검사 의무 실시)

단순히 운동지도뿐만 아니라 개인에게 맞춘 프로그램과 식단 그리고 꼼꼼한 모니터링과 사후관리까지 이루어지기 때문에 효과적인 건강관리를 받을 수 있어요.


청년신체건강증진서비스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저렴하게 운동을 배우고 건강을 관리받을 수 있는 서비스이기 때문에 건강에 고민이 있으신 분들은 신청하여 올바른 식습관, 수면 개선, 규칙적인 운동 등으로 활기가 넘치는 생활이 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